목록중국어 (4)
차이나 스토리

1. 성조의 변화 ① 3성의 변화 일반적으로 3성 두 개가 나란히 쓰일 때, 앞의 3성은 2성으로 읽습니다. 도식화하면 ∨+∨ → /+∨이 됩니다. ex) nǐ hǎo (你好 안녕하세요) → ní hǎo shuǐ guǒ (水果 과일) → shuí guǒ kě yǐ (可以 할수있다) → ké yǐ liǎo jiě (了解 이해하다) → liáo jiě ② 一와 不의 변화 원래 一는 yī로 읽지만 만약 뒤에 1, 2, 3성의 글자가 나오면 yì로 읽고, 뒤에 4성의 글자가 나오면 yí로 읽습니다. ex) yī tiān (一天 하루) → yì tiān yī nián (一年 일년) → yì nián yī wǎn (一晚 하룻밤) → yì wǎn yī kuài (一块 함께) → yí kuài 원래 不는 bù로 읽지만..

1. 복운모 우리말에서도 기본 모음을 결합하여 이중모음을 만들듯이 중국어도 운모가 결합하여 여러가지 발음을 만드는데, 이를 '복운모'라고 합니다. ai ei ao ou ia ie ua uo üe iao iou uai uei 2. 비운모 비운모는 흔히 말하는 콧소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중국어의 비운모로는 [an] [en] [ang] [eng] [ong] 등이 있습니다. an ian uan üan en in uen ün ang iang uang eng ing ueng ong iong 3. 권설음 er[r] 표준어에서 er[r]로 구성된 음절은 성모를 수반하지 않습니다. 자주 쓰이는 글자로 二, 儿, 耳, 而 등이 있습니다. 많은 중국어 음절은 혀를 마는 것으로써 'er화'를 시킬 수 있습니다. 4. 경성 ..

1. 표준어 중국은 영토가 넓은 만큼 방언의 종류도 다양하고 지역별로 발음과 어휘상 차이가 많아 같은 중국인들조차도 서로 의사소통이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중국어를 '한어'라 하는데 이는 '한족의 언어'라는 뜻입니다. 중국(대륙)의 표준어는 '보통화'라고 하는데 보통화는 베이징 지역의 발음을 표준음으로 하고, 북방어의 어휘를 기초로 하여 정해졌습니다. 2. 표기법 우리나라에서 쓰는 한자와 중국에서 쓰는 한자는 생김새가 약간 다릅니다. 중국에서 쓰는 한자는 복잡한 한자를 빠르고 편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한자 전체를 간략하게 만든 '간체자'로, 우리가 어렸을 때 배웠던 한자에 비해 훨씬 쓰기 간편하고 배우기 쉽습니다. 상대적으로 원래의 획순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 타이완의 한자는 '번..

1. 성모 성모는 우리말의 자음과 같은 개념으로 ㄱ, ㄴ, ㄷ처럼 음절이 시작되는 부분입니다. 중국어에는 총 21개의 성모가 있습니다. b p m-쌍순음: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붙었다가 떨어지면서 나는 소리 f-순치음: 영어의 f 발음처럼 윗니로 아랫입술을 살짝 누른 후 바람을 내보낼 때 나는 소리 d t n l-설철음: 혀끝이 입천장에 닿았다가 떨어지면서 나는 소리 g k h-설근음: 혀뿌리의 목젖 부분에서 나는 소리로, 목청에서 소리를 길게 끌어 올린다. j q x-설면음: 혀를 곧게 펴고 윗니와 아랫니 사이로 바람을 내보낼 때 나는 소리 z c s-설치음: 혀를 곧게 펴고 혀끝이 치아에 닿을락 말락한 상태에서 바람을 내보낼 때 나는 소리 zh ch sh r-권설음: 혀를 동그랗게 말아 올린 상태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