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 스토리
현대중국정치[당군 관계] 본문
중국정치제도와 중국공산당 일당독재
중국공산당은 어떻게 군부를 장악하고 있는가?
마오: “정치권력은 총구에서 나온다”
►정치국 상무위 직접 군부장악.
►공산당 총서기(시진핑)—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정치위원—모든 군부조직에 포진 당에 의한 통제 유지.
►군부 중요성—덩샤오핑, 장쩌민 퇴임 후에도 1-2년간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직 유지 영향력 행사.
►시진핑 집권과 동시에 중앙군사위 주석직 승계함으로써 권력기반 공고화
인민해방군 임무
►당의 군대
►국방과 건설
►정치공작
중국공산당과 군부
82년 수정헌법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신설(국가가 무력 감독한다는 의도)
단, 명목상, 정당화 조치에 불과
중국공산당: 공산당 핵심권력
공산당
중국공산당 통치의 정치적 기초
►엘리트 정치의 안정화
개인적 카리스마, 이념, 노선 -> 집단지도체제, 파벌간 공존 -> 시진핑 개인권력 강화->안정유지?
►권력, 지식, 자본의 지배연합 형성
지식인과 자본의 포용정책(장쩌민 삼개대표론).
►주요 사회조직 및 단체 장악, 관리 (노조, 공상련, 여성단체 등)
► 공산당 조직과 인민해방군 및 무경, 공안 등 무력장악
중국의 군대(인민해방군)는 공산당의 군대
중앙국가기관 (議行合一)
중국의 군부개혁 추진
중국의 5개 전구와 북부전구 4개 집단군
최근 중국군 개혁 특징
►시진핑으로의 “권력집중화”와 군부장악도 제고(提高).
- 중앙군위 주석책임제 강조, 안보와 군건설 주요이슈
시진핑 장악(장쩌민, 후진타오 시기 통상 중앙군위 부주석 관장
- 기존 4대총부 폐지 후 중앙군위 직속으로 전환
- 시진핑이 중앙군위 연합작전 총지휘(총사령관) 담당을 통해
중앙군위 주석직과 군 총지휘권 장악
►기존 육상방어체제에서 해양패권국으로 팽창해나가는 군사적 기반 마련(5대전구, 육해공 및 전략군 체제).
- 남동중국해 해양 뿐만 아니라 한반도 군사력 투사전력
확대팽창과 전략자산 증강추세
- 한반도를 향해 S-400 레이더 미사일 체제 구축
군개혁 완료목표시점(2020년)
'중국 현대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현대정치: 정책형성메커니즘 (0) | 2019.08.14 |
---|---|
중국정치와 지명 (0) | 2019.08.13 |
중국정치[정부, 중앙지방관계, 입법, 사법] (0) | 2019.08.12 |
중국정치[당, 국가] (0) | 2019.08.10 |
현대중국정치와 중국공산당사(2) (0) | 2019.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