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 스토리
중국공산당 변화양상 본문
중국공산당 통치 지속성?
중국 시장화 가속과 공산당 정체성 변화
3개대표 사상: 장쩌민 지도사상
(왕후닝 제안/작성, 2000년 장쑤/상하이 당대회에서)
중국공산당은
1.선진 사회 생산력의 발전 요구 대표
(始终代表中国先进社会生产力的发展要求)
2. 중국의 선진 문화 발전을 대표
(始终代表中国先进文化的前进方向)
3. 중국 전체 인민의 근본 이익을 대표
(始终代表中国最广大人民的根本利益.)
배경
1.시장화(자본주의화), 중국공산당 집정 모순
2.시장화 계속추진위해 자본가 인정 필요
3.공산당 정체성 변화(계급정당-> 중화민족정당)
중국 시장화 모순축적과 과학적발전관
후진타오 집권기
-> 과학적발전관(16기 3중전회, 2003-> 17차 공식화)
-> ‘조화(和諧)’ 개념 도입
중국 시장화에 따른 심각한 사회경제적 문제점들 발생 및 사회적 긴장도 고조
- 사회경제적 불평등
- 부정부패
- 중국공산당 일당독재 정당성 문제
중국 시장화 모순축적과 과학적발전관
경 제
- 지속적 경제성장(7-10% 이상)
- 경제적 불평등 해소(균형발전)
☞ 계층간 빈부격차
☞ 도농간 빈부격차
☞ 지역간 빈부격차
중국 시장화 모순축적과 과학적발전관
과학적 발전관
-경제발전모델 전환(개도국발전모델->고도경제사회)
- 균형발전
- 지속가능한 발전
-> 조화(和諧)사회 건설: 민주법치, 공평정의, 안정 등의 조화
- -> 교육, 의료, 주택 등 복지사업 확대추진
중국 시장화 모순축적과 과학적발전관
과학적 발전관과 조화사회 정책추진, 결과
시진핑 시기 중국공산당 통치전략
- 통치전략과 정책의 특징
O ‘중국몽(中國夢)’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 ‘兩個百年’(2021, 2049)
-> 민족정당(중화민족)으로서 중국공산당의 사명
o “국가에 대한 중국공산당 영도”가 정식으로 헌법에 삽입
-> 일당독재 명문화.
o‘뉴노멀’ 시기 중국 경제개혁과 전략의 핵심은 국내소비 진작, 금융 및 서비스 산업 육성, ‘중국제조 2025’로 대표되는 고부가가치 산업 발전, 신성장동력으로서 지식경제 발전 등에 초점을 맞추어 경제성장 방식의 질적전환을 성공적으로 달성하는 것
공산당 정체성 변화
►노동자, 농민, 군인 등 프롤레타리아 계급 정당에서
엘리트 정당으로 변화
☞ 고학력화와 엘리트화, 간부 4화(化)’: 혁명화·연소화·지식화·전문화
☞ 공산당원 수: 약 9천만
☞ 공산주의 청년단
☞ 사영기업가(2001년부터 공식입당) 비율 증가
►공산주의 청년단
☞ 4세 - 28세의 젊은 학생,
청년 대상
☞ 약 8천9백만
☞ 공산당 청년 예비군
'중국 현대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정치개혁과 시진핑 시기 중국정치 (0) | 2019.08.17 |
---|---|
국가-사회 관계와 주요이슈 (0) | 2019.08.15 |
중국현대정치: 정책형성메커니즘 (0) | 2019.08.14 |
중국정치와 지명 (0) | 2019.08.13 |
현대중국정치[당군 관계] (0) | 2019.08.13 |